실버의료정보
성심껏 진료하는 의료진과 양질의 시설.
요양병원의 새지평을 열어가겠습니다.
치매

치매치료법

치매는 노인연령에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우리사회에서는 치매현상을 나이가 들면 생기는 노화과정의 일부로 여겨 대부분 병으로 간주하지 않고, 치료를 하는 일이 드뭅니다. 그러나 치매는 정상적인 노화현상과 구별해야할 병적인 현상이며 모든 노인에게 있어서 치매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노년기 질병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치매의 원인 중 치료가 가능한 경우는 약 20~25% 정도입니다.

약물치료적 접근

  • 최근 치매 발생기전이 점차 규명되면서 이를 고려한 약물들 예컨데 콜린성제재, 칼슘통로차단제, 모노아민산화요소억제재, 신경성장 요소제, 아밀로이드 단백변조제와 같은 신경인지기능 활성제가 개발되어 있습니다. 또한 치매의 정신증상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항정신병 약물,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차증상인 정신증상을 호전시킴으로써 환자들을 가정에서 돌보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환자의 환경조성

  • 환자는 점점 기억력이 없어지고, 주변사물에 대한 인지도 또한 감소되어 사소한 환경변화에도 혼동을 일으키며 괴로워합니다. 따라서 주변환경을 환자가 친숙한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행동교정 치료

  • 오늘 날짜가 몇칠인지 반복해주고, 되는 일, 안되는 일 등에 대한 교육을 반복해 줍니다. 친구들과 친숙한 사람들도 다시 확인해서 일러주고, 구슬꿰기 등 간단한 일거리를 주어 한가지 일에 몰두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상호 협조집단 이용

  • 비슷한 환자군과 가족들이 모여서 힘든 점들을 표현하고, 일도 분담하는 방식으로서 서로가 심리적인 중압감에서 벗어나고 나 혼자만 당하는 일이 아니라는 데서 안도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환자들은 이러한 모임을 통해 옛날이야기를 서로 나누며 웃기도 하고 정서적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환자의 가족들로 구성된 자조모임도 서로에게 많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해 줍니다.

외부 도움

  •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효" 사상으로 인해 가족이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경우에도 치매환자를 집에서만 모시려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환자와 가족모두에게 결코 바람직한 방법이 아닙니다. 필요한 경우에는 탁노소나 노인전문기관 등 외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치매의 예방법

  • 1. 식사는 영향의 균형을 유지하여 자신이 먹을 수 있는 양의 80%정도로 합시다.
  • 2. 술은 적당하게 마시며 건강관리에 힘씁시다.
  • 3. 운동은 젊었을 때부터 규칙적으로 합시다.
  • 4. 노후에 할 일에 대한 계획을 철저히 세웁시다.
  • 5. 노후에도 절친하게 지낼 수 있는 친구를 만들어 둡시다.
  • 6. 젊은 사람돌과도 어울립시다.
  • 7. 난청과 시력장애가 치매로 오인받게 할 수도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합시다.
  • 8. 새로운 정보를 항상 접하고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합시다. 이것을 반복하면 뇌운동에도 도움이 됩니다.
  • 9. 항상 즐겁고 느긋하게 긍정적인 태도로 노후생활을 보내도록 노력합시다
상단으로 가기